[제2부]범 정부차원 그린 IT 추진 현황-28회. IT기반 그린 생활혁명 구현(상)
정부는 오는 2013년 IT활용을 통한 교육ㆍ의료ㆍ문화ㆍ주거관리 등 생활전반의 녹색화로 이산화탄소 47만1383t을 절감하는 목표를 세웠다.
교육부문에서는 원격교육 활성화, 디지털 교과서 보급 등으로 교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사교육비를 10% 줄일 방침이다.
의료는 2020년까지 원격의료ㆍ건강 모니터링을 통해 노인과 만성질환자의 의료기관 방문 횟수를 30% 줄일 예정이다.
◆ 디지털교과서, 2013년 상용화
인터넷ㆍIT 단말기 등이 교육에 활용되면 사교육 시설로의 이동과 교재ㆍ유인물 제작 등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다.
정규 교육기관의 e-러닝 도입은 지난해 76.8%에 이르렀고 관련 산업도 활성화하고 있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7년에는 관련 산업이 756개에서 2008년에는 1145개로 늘었다.
디지털교과서는 플랫폼ㆍ단말기를 개발해 2013년에 상용화할 예정이다.
이 교과서는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와 다양한 문제를 제공해 학생 수준별 학습과 수시개정이 가능한 미래형교과서다.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이 매년 10% 이상 증가함에 따라 환자가 의료기관 방문 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u-헬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u-헬스 시장은 2012년 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2007년 u-헬스의 90%가 만성질환자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부는 기존 의료장비에 IT를 융합시켜 원격으로 건강을 측정할 수 있는 u-헬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시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연세의료원에서 고혈압환자 50명을 홈 헬스케어 서비스로 관리한 결과 24%가 8주 만에 목표 혈압에 도달했다.
◆ 신규 콘텐츠 시장 창출 가능
정부는 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한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육성으로 ‘세계 5대 콘텐츠 강국’을 실현한다는 것과 전자태그(RFID) 활용으로 음식물 쓰레기 20% 감량, 주택 에너지관리시스템(HEMS)을 통해 신축주택의 에너지 효율 20% 향상 등을 추진한다.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기획 ㆍ개발은 실제 상황 연출 시 이용되는 각종 에너지 소비, 환경오염 등에 대한 경제ㆍ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기술이 문화예술ㆍ관광ㆍ체육 등 문화 분야와 국방ㆍ의료ㆍ방재 등 서비스, 의류ㆍ자동차ㆍ선박 등 제조분야 등으로 확산되면 다양한 신규 콘텐츠 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또 사이버 박물관ㆍ인터넷 기반의 가상세계를 통해 이동축소ㆍ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의 정보접근권도 확보할 수 있다.
가트너는 2011년까지 18억 명의 사용자가 3차원 가상세계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u-홈(Home), u-시티(City) 등을 통해 가정 내 가전 제어와 원격검침, 폐기물 관리 등으로 에너지 효율화와 쾌적한 주거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선진국은 ‘디지털 환경 주택 에너지관리시스템(DEHEMS)’ 프로젝트로 주택의 조명ㆍ냉난방ㆍ환기시설에 대한 IT의 적극적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포르투갈, 전주시 등은 전자태그(RFID)를 폐기물 용기에 부착해 폐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배출량 절감을 유도하는 중이다.
◆ 선진국에 비해 5년 기술격차
IT를 활용한 교육은 아직 콘텐츠가 다양하지 못하고 내용도 충분하지 않아 학습몰입도가 오프라인 방식에 비해 열세다.
앞으로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의 다양화, 고가(약 2백만원)의 단말기 문제 해결 등을 위해 국내기업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
의료는 병원을 방문하는 만성질환자(당뇨병)의 25% 정도만 관리돼 원격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활성화가 요구된다. 또 원격진료 제한(의료법 제34조), 영리활동의 제약(동법 제27조), 의약품 배송판매 불허(약사법 제44조) 등의 법ㆍ제도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최근 네트워크 고도화, IT기술의 보편적 확산으로 가상 정보와 지식을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실세계 공간에서 활용하고 접근하는 요구가 크게 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5년 정도의 기술격차가 있다. 향후 범용적이고 실용적인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와 기술 확보가 절실하다.
이외에도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은 2006년 94%였지만 배출량에 대한 개별 수수료부과 체계가 미흡해 배출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개별주택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시스템(HEMS)은 해외에 비해 4년 이상 격차가 난다.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