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정부지원으로 달리는 전기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10-21 14: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세계 각국 전기차 상용화 지원 봇물

각국 정부가 전기차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지원에 나서고 있다. 고가의 배터리 비용과 충전의 어려움 등으로 전기차 상용화가 탄력을 받지 못하는 상황인 만큼 자동차업체들도 정부의 손길을 필요로 하고 있다. 사실상 전기차는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으로 달리고 있는 셈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보고서를 인용, 중국과 미국, 프랑스 등 각국 정부가 전기차 생산 지원에 향후 5년간 1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각국 정부는 특히 지구 온난화와 석유에 대한 지나친 의존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차에 대한 지원 규모를 늘리고 있는 추세다.

일본 자동차 메이커 닛산의 기술제품 개발 책임자인 야마시타 미쓰히코는 "정부의 인센티브 없이는 전기차의 상용화는 힘들 것"이라며 "앞으로 몇년간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닛산은 오는 24일부터 열리는 도쿄모터쇼에서 스쿠터 형태의 새로운 전기차를 공개할 예정이다. 내년 말 미국에서는 또 다른 종류의 전기차 '리프(Leaf)'를 선보이게 된다.

각국 정부는 대부분 전기차 생산을 선호하고 있다. 가솔린 자동차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석유를 사용할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범인 반면 전기차는 석유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를 사용하지만 가솔린 엔진보다는 탄소 배출량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자동차업체들은 전기차 상용화를 시도했지만 매번 실패했다. 전기차 배터리는 매우 비싸고 수명이 짧아 장거리 운행시 목적지에 도달하기도 전에 소모될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배터리 충전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최근 이런 문제점들이 점차 개선되면서 한 번 충전하면 100마일(약 160㎞)을 달릴 수 있는 콘셉트카도 등장했다. 하지만 배터리 가격은 여전히 개당 1만 달러에 달한다.

세계 최초 양산 전기차 모델인 '아이미브(i-MiEV)'를 출시한 일본 미쓰비시는 이 소형 전기차를 400만 엔(약 4만4000 달러)이라는 높은 가격에 책정했지만 배터리 비용이 너무 커 손실을 입은 바 있다.

신문은 높은 가격 때문에 전기차가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내놓은 주요 지원책은 구매자에 대한 금전적 인센티브라고 전했다.

프랑스는 배기가스 배출이 적은 자동차를 구매하는 고객들에게 7500 달러를 지원하는 한편, 연료 소비가 많은 가솔린 차량에 대해서는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중국은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과 정부 관용 차량을 대상으로 29억 달러 규모의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전기차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도 한창이다. 미국 정부는 올해 전기차 배터리 분야를 포함해 친환경 자동차 기술 개발에 24억 달러를 투자했다.

지난 2000년부터 새로운 에너지 차량에 자금을 지원해온 중국 정부는 올해 1월 2011년까지 100억 위안을 추가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덴마크와 이스라엘에서 전기차 충전과 배터리 교환 사업을 벌이고 있는 베터플레이스(Better Place)의 샤이 아가시 회장은 "정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소비자에게 전기차의 청사진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미래 전기차에는 석유가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등의 확실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