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은 우리은행 행장 재직 시절 부채담보부증권(CDO)과 신용부도스와프(CDS) 투자를 지시하지 않았다며 금융당국의 징계에 대해 법정싸움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황 전 회장은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자리에서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의 "우리금융의 파생상품 거래를 스스로 주도했는가"라는 질문에 "본인의 아이디어로 진행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IB사업단에 선진적인 사업을 해달라고 주문을 했지만 집행단계에서 CDO, CDS로 이뤄졌는지는 알지 못했다"라고 설명했다.
황 전 회장은 징계와 관련 금융당국과 법정싸움을 준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법정싸움 여부는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황 전 회장은 자신에 대한 민주당 홍영표 의원이 "투자 결정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 징계가 이뤄진 것은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우리은행의 손실이 커졌기 때문에 징계가 나중에 이뤄졌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2007년 하반기까지 CDO, CDS 문제를 아무도 인식하지 못했다"면서 "본인 역시 퇴임 이후였기 때문에 위험을 인식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황 전 회장은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이 "나중에 부실이 발생한 상품에 왜 투자하게 됐느냐"라는 질문에 "당시에는 우량 투자상품이었기 때문에 투자했다"라고 밝혔다.
아주경제=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