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경기회복, 민간으로 확산 여부 관건..
3분기 2.9% 성장 이후 우리 경제의 연간 플러스 성장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정작 정부는 신중한 모습이어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우선 이번 깜짝 성장률이 기업의 재고조정을 위한 생산과 함께 세제혜택 및 신차 출시에 따른 자동차 구입 확대에 의존한 부분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의 재정 지출 효과가 확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다 추석 연휴가 10월로 밀렸다는 점 등이 정부가 4분기 성장률을 자신할 수 없는 이유다.
이밖에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는 국제 원자재 가격과 원ㆍ달러 환율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재정이 경제성장에 기여한 부분을 민간 소비와 투자가 이어갈 수 있을지가 향후 경기의 관건으로 지목되고 있다.
◆ 자동차로 경기 '훨훨'
1일 통계청에 따르면 광공업 생산이 전년동월대비로는 11%나 늘어나면서 경기회복의 기대를 키우고 있다. 전체 제조업평균 가동률은 1년3개월만에 80%를 넘어서며 '정상' 조업 수준을 회복했다.
광공업 생산 증가는 자동차와 반도체 및 부품 분야가 1년전 9월에 비해 각각 32.3%, 23% 증가하는 데 크게 기인했다. 이들 두 업종이 광공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에 달한다.
전체 성장폭(11%)에서 이 두 분야가 끌어올린 부분은 7.30%로 기여도가 66%를 넘어선다. 두 업종 외에도 기타운송장비(27.9%)의 생산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하지만 나머지 25개 광공업 분야별 기여도는 0% 수준에 머물러 경기회복에 거의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었다.
소비재판매액은 승용자 가전제품 등의 내구재의 호조로 전달보다 1.8% 증가했고, 설비투자도 운송장비 투자 증가 등의 영향으로 18.8%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정부 세제지원과 신차효과가 합쳐져 자동차 부문이 생산뿐만 아니라 소비 투자에서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생산과 소비 투자 부문에서 동시에 증가한 것은 2007년 12월 이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서비스업 전월비 생산은 증가와 감소가 1~2달 간격으로 반복해 뚜렷한 방향을 보여주지 못하던 모습이 되풀이됐다.
7월(-0.6%), 8월(-0.8%) 감소세를 기록했던 서비스업 생산은 9월 2.6% 증가했다.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9%)과 금융 및 보험업(3.2%)이 활기를 띄었지만 정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규제 강화 정책의 영향으로 부동산업 및 임대업(-3.1%)은 축소됐다.
◆ 향후에도 회복 흐름 지속은 "두고 봐야"
3~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전월대비 1%포인트 상승해 9개월 연속 상승했다.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2007년 12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13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올해 들어 계속 상승하고 있다.
다만 상승폭이 6월(3.2%포인트) → 7월(2.0%포인트) → 8월(1.3%포인트) → 9월에 점점 줄어드는 모습이라 향후 경기회복의 추동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일정 수준의 경기회복 이후에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상승폭이 제한되는 것이 자연스럽다"며 "상승폭보다는 흐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이같은 성장세가 지속될 지는 좀 더 두고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기계류 설비투자, 민간 건설투자 등 향후 민간부문의 자생적 수요기반이 늘어나는지 살피는 게 중요하다"며 "경기 선행지표, 정부의 정책적 부양기조와 관성 등을 고려하면 경기 회복세는 이어지겠지만 차츰 회복 속도는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