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0일 "국내 금융사들이 선진 IB(투자은행)보다 비교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아시아 역내시장부터 입지를 확보하는 단계적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서울IB포럼 주최 조찬모임에서 '금융위기 이후 IB 산업과 우리의 과제'를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IB업무를 위한 내실을 다짐과 동시에 점진적인 해외 시장 진출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원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부에서 IB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며 그러나 IB 산업은 일시적으로 위축될 수는 있지만, 자본시장이 존재하는 한 그 중요도가 줄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금융투자사들의 IB 업무에 대해서는 "고위험 자산에 대규모로 투자할 정도의 능력을 아직 갖추고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
그는 "IB산업의 주체가 되어야 할 증권사들은 위탁매매 중심의 업무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고, IB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자본력과 리스크관리 능력도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IB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IB 산업을 성장의 발판으로 인식하고 과감한 투자를 시도하는 경영진의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인수합병(M&A)이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대형화를 추진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강점이 있는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국내외 전문인력의 과감한 영입과 육성, 균형잡힌 리스크 관리 문화 정착 등이 필요하다고 그는 말했다.
그는 금융회사의 IB 업무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제반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며 리스크관리 강화 및 수익구조 다변화 유도, 투자자보호 강화 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