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부푼 중국) 상하이엑스포 '카운트 다운'…9%대 성장 시동

  • 5월부터 경제올림픽 글로벌 중심 도약 꿈꿔

"1979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 경제의 중심으로 떠오른 상하이는 아직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내년 엑스포를 치르고 나면 중국 경제를 넘어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떠오를 것입니다"

야경으로 유명한 상하이 와이탄 인근에서 20년째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장펑이(張風義) 사장은 상하이의 발전상을 바로 곁에서 지켜본 산증인이다.

장 사장을 비롯한 대다수의 상하이 시민들은 내년을 기점으로 상하이가 국제 무대의 주역으로 우뚝 설 것으로 굳게 믿고 있다.

상하이의 젖줄인 황푸강 양안, 푸동(浦東)과 푸시(浦西)에서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상하이 엑스포 건설 현장의 웅대한 규모를 확인한 후 기자는 상하이 시민들의 자신감에 동조할 수 밖에 없었다.

   
 
중국 금융 1번지인 상하이 푸동지구의 루자주이(陸家嘴) 전경. 상하이의 랜드마크로 떠오른 88층의 진마오따샤(金茂大厦, 오른쪽 앞 건물)와 492m 높이의 국제금융센터(오른쪽 뒷 건물)가 현란한 야경을 뽐내고 있다.

◆ "불황은 없다" 수출 부진에 재정 확대로 맞불

중국이 또 한 번의 비상을 꿈꾸고 있다. 지난해 베이징올림픽을 성공적(陸家嘴)으로 치른 중국은 내년 경제올림픽으로 불리는 상하이엑스포까지 성대하게 마무리한 후 아시아를 넘어 세계 경제의 패자로 도약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구상 중이다.

올해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침체로 전 세계가 신음했지만 중국은 8%대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9.5~10.0%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미국 경제가 위축되면서 중국의 대미 수출도 큰 폭으로 줄어들었지만 중국 정부는 재정 확대 정책을 통해 수출 둔화 효과를 상쇄하는데 성공했다.

금융위기는 오히려 중국이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첨단 선진 산업으로 전환하는 촉매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세계 유수의 경제연구소와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에 따른 경기 반등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사회과학원이 지난 7일 발표한 '2010년 경제청서'에 따르면 중국은 내년 9%대 경제성장률과 17%대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내년 선진국은 평균 1.2%, 개발도상국은 4.9%의 성장률에 머물 것이라는 예측을 감안하면 중국의 성장세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김학서 무역협회 상하이지부장은 "미국 경제가 얼마나 살아나는 지가 관건이지만 내년에도 중국 경제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대미 수출이 20% 가량 감소했지만 중국 정부가 4조 달러 가량을 투입하는 경기부양책을 펼치면서 내수 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김 지부장은 "상하이를 비롯해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도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다"며 "중국의 산업 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등 내수 위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에 적응한다면 내년에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지난 22일 방문한 상하이 도시계획전시관 정문에는 상하이엑스포 개막까지 130일 남았음을 알리는 전광판이 설치돼 있었다. 아래는 상하이엑스포 마스코트인 하이바오(海寶).

◆ 인플레·부동산 안정이 관건

아시아 최대의 쇼핑 거리로 불리는 상하이 난징동루(南京東路)에서 식당을 하는 리예(李葉)씨는 불황에도 불구하고 4% 가량의 매출 증대를 이뤄냈다. 그러나 중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위해 좀 더 넓은 집으로 옮기겠다는 계획은 미룰 수 밖에 없었다. 올 들어 상하이 주택거래가격이 평균 7% 이상 급등했기 때문이다.

리씨는 "매출이 좀 늘긴 했지만 내부 인테리어를 바꾸면서 자금이 많이 소요됐다"며 "최근 상하이는 각종 개발 호재로 집값이 하루다 다르게 뛰고 있어 서민들이 집을 구입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한숨을 쉬었다.

중국 정부도 유동성 급증으로 인한 자산버블 현상과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확산을 경계하고 있다. 중국 부동산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 실시한 규제 완화와 올 들어 시중에 풀린 풍부한 유동성 등이 맞물리면서 큰 폭으로 뛰고 있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 주요 도시의 경우 주택 임대료와 판매가격의 비율이 1대 350으로 벌어졌다. 주택 판매가격과 소득비율도 23대 1을 기록하고 있다. 급여를 23년 동안 모두 모아야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얘기다.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가격에 버블이 끼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4일 원자바오 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지나친 집값 상승 억제를 위한 4개 조치를 내놨다. 공공임대 주택을 확대 보급하고 투기를 근절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그러나 중국 경제가 고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다. 특히 부동산 관련 세액은 지방 재정수입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 위축은 금융기관의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 중국 정부가 딜레마에 빠지는 부분이다.

중국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는 시중은행에 연말까지 대출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고 대출 공급 규모도 줄이라는 지침을 내린 상태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인민은행 총재는 "올해 대출 규모는 9조8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지만 내년에는 8조 위안이 넘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유동성 공급에 대한 속도조절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