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철근' 시중 유통 기술표준원이 막는다

  • 철근 원산지·강종 등의 식별표시 강화된 KS개정안 오는 6월5일부터 시행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정부가 시중에 유통되는 불량 철근을 막기위해 적극 나설 방침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품질검사도 거치지 않은 불량 철강재 유통으로 인한 구조물의 붕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기위해 철근의 원산지·강종 등의 식별표시가 강화된 한국산업표준(KS) 개정안을 오는 6월5일부터 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철강 가격상승이 가져오는 이른바 '아이언플레이션(Iron Inflation)'으로 올해 국내 기업이 원자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가운데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철근 수입량이 지난해 동기에 비해 71% 증가하고 있다.
이중 일부 수입되는 철근 중에는 항복강도, 화학성분 등이 명확치 않은 불량 철근이 국내에서 시험․검사가 면제되는 KS인증제품으로 둔갑돼 유통될 우려가 제기돼 왔다. 정부는 이를 차단하고자 지난해 6월, 1년간의 유예기간을 주고 식별표시를 강화한 KS철근 표시방법 개정안을 고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KS철근은 낱개마다 원산지,제조자,호칭,강종(일반철근,고강도철근 등)을 1.5m 이하의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표면에 양각 표시토록 해 불량 철근의 사용 근절 및 수입된 철근이 국내산으로 둔갑되는것을 차단할 수 있게 했다

현재까지 철근 KS 인증업체 수는 총 42곳으로 국내 25곳, 중국 2곳, 일본 13곳, 터키 1곳, 대만 1곳이다.

또 기표원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세계최고강도[800Mpa(Pa=N/㎡)] 철강재 등을 국가표준으로 신속히 도입해 품질이 향상된 KS제품을 보급·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