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국내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기준금리 인상보다는 대출 규제 등 미시적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현 정부 들어 2년 동안 가계부채가 100조원 늘어났다는 지적에 대해 "가계부채는 무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접근과는 구별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를 결코 가볍게 보지 않겠다"면서도 "다만 소득 4~5분위가 전체 가계부채의 70%를 가진 우리나라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향후 통화정책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완전히 탈피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운용할 것"이라며 "민간 부문의 자생력과 경기의 '더블딥'(이중침체) 가능성을 점검한 뒤 금리 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도 "수출뿐 아니라 내수가 중요한데, 건설 투자가 좋지 않아 가장 걱정"이라며 "위기를 완전히 극복했는지, 더블딥 가능성은 없는지도 점검해야 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한편 한은의 감독권 강화 문제에 대해서는 "(중앙은행의 역할 강화가) 금융위기 이후 얻은 교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