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22일 세계적인 물부족 현상과 관련, "물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자연자원이며 다른 자원과 달리 대체재가 없는 만큼 에너지보다 높은 국가안보(water security) 차원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제40주년 지구의 날'을 맞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4차 환경을 위한 기업 정상회의(B4E)'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2030년 세계 인구의 40%가 만성적인 물부족에 직면할 것이라는 한 연구 결과가 있다"며 "(전문가들은) 물 공급 확대와 물 생산성을 높이는 것만으로도 2030년 물부족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우리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이야말로 여기에 해당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생명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대표적인 녹색 뉴딜 프로젝트"라며 "4대강 살리기를 통해 오염된 4대강을 2급수로 개선해 맑고 깨끗한 물이 넘실대는 건강한 강으로 되살리고 핵심 수자원을 13억t 이상 늘려 미래 물부족을 완전히 해소하는 동시에 재사용과 효율화를 통해 물 생산성도 함께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오는 2012년 여러분이 한국을 방문하면 그 성과를 눈으로 생생히 체험하게 될 것"이라며 2012년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의 한국 유치를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지난해 제3차 B4E 회의에서 필요성에 합의한 '새로운 글로벌 기후체제'의 후속조치를 언급하면서 "우리는 이제 인간만이 아니라 지구도 함께 생각하는 '지구책임적 시스템(Planet-responsible System)'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