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정화 기자) 올해 들어 두차례 인상된 철근 가격을 놓고 건설업체와 철강업체들간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못해 대형 건설사 7곳에 철근 공급이 중단됐다.
그동안 철근 가격을 놓고 양 측이 대립한 적은 많아도 납품까지 중단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2일 건설·철강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국내 대형 철강업체들은 이번주부터 삼성물산과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롯데건설, SK건설, 두산건설 대형 건설사 7곳에 철근 납품을 중단했다.
이들 7개 건설사와 30여개 대형·중견 건설사의 자재구입 관련 협의체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이하 건자회) 관계자들이 지난 20일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2대 철근 제조업체를 방문해 가격인상분 반영 여부를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 했기 때문이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은 지난해 말 t당 69만1000원(현금가)이던 철근(고장력 10mm)을 올해 2월 74만1000원으로 올린데 이어 이달 초 79만1000원으로 다시 올렸다.
이에 대해 건설사들은 2월분에 대해서는 71만1000원, 3월분은 73만1000원, 4월분은 74만1000원의 가격을 제시했다.
건자회 관계자는 "기습적으로 두차례에 걸쳐 10만원이나 값을 올린 것은 부당하다"며 "가뜩이나 건설경기 침체로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철강업체가 일방적으로 인상한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철강사들은 올린 가격대로 2~3월에 납품한 철근값부터 먼저 결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철근 원료인 고철의 국제 가격이 2월에는 1t당 360달러이던 것이 3월에는 450달러로 올랐고, 4월 현재는 490달러 수준으로 급상승해 원자잿값 상승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에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철근값을 올리려고 했지만 건설경기 악화와 건설사들의 반발로 인상 시기를 늦췄다"며 "올해 이뤄진 인상도 이러한 점을 감안해 인상분을 최소화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건설사들은 22일 다시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가격협상이 이뤄질때까지 선구매한 철근값을 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철강사와의 갈등은 쉽게 풀리지 않을 전망이다.
jh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