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충현 기자) 지식경제부는 u-헬스 사업을 수요자 맞춤형으로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SK텔레콤, LG전자 등 2개 컨소시엄 대표들과 '스마트케어서비스 시범사업 협약'을 체결한 지경부는 u-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을 제시했다.
지경부는 u-헬스 산업을 만성질환자를 치료하는 u-메디컬, 65세 이상 노령자의 요양 중심인 u-실버, 일반인의 건강관리 중심인 u-웰니스 등 3가지 방향에서 육성하기로 했다.
u-메디컬은 의료 관련 법·제도의 개선이 관건으로 스마트케어 시범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통해 신시장 창출 및 원활한 제도개선을 유도하는 시장확대형 육성전략을 펴기로 했다.
u-실버는 고령친화형 제품개발과 함께 사용자의 체험과 부담경감을 통해 수요를 이끌어 내기로 하고, u-웰니스 분야는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민간의 투자를 이끌어 낼 방침이다.
한편 스마트케어서비스는 만성질환자들을 대상으로 IT기술을 이용해 원격진료에서 건강관리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지경부는 지난 2월 SK텔레콤과 LG전자 컨소시엄을 주사업자로 선정했다.
이 사업은 만성질환자 1만2000명을 대상으로 총 521억원 규모로 진행되며, 기업들뿐만 아니라 경기·전남·충북·대구 등 4개 지방자치단체와 서울대·세브란스·아산·삼성병원 등 대형 병원, 100여개의 개인병원 등이 참여한다.
ba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