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한국전력공사] |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한국전력은 9일~20일을 전력수급안정을 위한 '특별 관리기간'으로 정하고 부하관리제도 등 다각적인 수급안정대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자동차업계, 중공업 등 대기업 근로자들이 속속 집단휴가에서 복귀하면서 전력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한전이 비상전력수급 대책 마련에 나선 것.
한전은 9일부터 전력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20일까지 전국적으로 총 1384호 고객이 참여하는 '지정기간수요조정'제도를 시행해 일평균 1500MW이상의 전력수요를 감축할 예정이다.
폭염이 지속되거나 발전소 고장 등으로 예비력이 5000MW 이하로 떨어지면 '주간예고 수요조정제도'를 추가로 시행해 일평균 약 1000MW 이상의 전력수요를 감축할 계획이다.
특히 늦더위 등으로 8월말∼9월초에 공급예비력이 5000MW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 발생시에도 일평균 1000MW 수준의 부하를 감축하기로 했다.
한전은 또 부하관리제도를 통해 약 2500MW 이상의 부하를 감축해 ‘전력수급 비상수준’인 예비전력 4000MW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이 부분만 잘 시행되면 500MW급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5기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한전은 분석했다.
전력그룹사 또한 발전소 자체 소비전력과 사옥에 대해 강도 높은 에너지절약을 추진해 피크발생시 약 500MW수준의 부하를 감축키로 했다. 발전소 상·하탄, 회처리 설비단속 운전, 냉방기기 가동 최소화는 물론 사옥에 대한 에너지절감을 위해 ‘에너지절약 7대 실천 수칙’을 공포하고 ‘에너지지킴이’를 통해 철저히 이행할 계획이다.
한편, 발전소 고장 등 비상상황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력그룹사 합동 ‘수급대책상황실’을 구성하고 지난 7월5일부터 운영해오고 있다. 이는 이달 27일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공급예비력 4000MW 이상인 평상시는 발전소 등 전력설비의 정기점검을 통한 고장 예방활동, 부하관리제도를 통한 부하감축, 대국민 에너지절약 홍보 등을 통해 공급예비력 4000MW 미만인 비상단계로 진입을 최대한 억제키로 했다.
한전 관계자는 "올 여름철 피크시간(14시∼16시)에 에어컨 적정온도(26∼28℃)를 준수하고 선풍기와 함께 냉방을 하는 작지만 강한 실천을 통해 건강도 지키고 에너지도 절약할 것"을 당부했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