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채소 등 농산품을 중심으로 8개월 연속 상승했다.
9일 한국은행은 7월 생산자물가 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올랐다고 밝혔다. 전월대비로도 0.1% 상승하며 한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생산자물가 지수는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연속 상승곡선을 그렸다. 상승률은 지난 5~6월의 4.6%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채소 등 농산품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채소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3.8%, 전월 대비 14.7% 급등했다. 이중 무(175.6%)·마늘(151.6%)·배추(94.6%) 가격이 치솟았고 양파(49.4%)·시금치(41.1%)·토마토(38.8%)·피망(34.0%) 등도 많이 올랐다.
계절 과일인 참외(31.8%)와 수박(15.8%)이 오르면서 과실류도 10.2% 상승했다. 곡물 중에서는 콩(33.7%)이 많이 올랐으나 쌀(-15.4%)과 보리(-4.4%)는 하락했다.
축산물 중에서는 오리고기(14.4%)와 닭고기(3.1%)가 올랐고 계란(-17.3%)·돼지고기(-3.8%) 등은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봄철 저온현상으로 출하량이 줄어든 데다 소비도 크게 늘었다"며 "마늘 등 일부 품목은 작황 부진과 중국의 가격 상승이 겹치며 급등세를 탔다"고 말했다.
수산식품은 고등어(33.5%)·조개(27.2%)·조기(22.0%) 등이 올랐고 물오징어(-43.1%)·가자미(-41.7%)·넙치(-38.7%)가 내렸다.
공산품은 프로판가스(53.7%)·부탄가스(36.0%)·경유(7.9%)·휘발유(5.0%) 등 석유제품이 일제히 상승했다. 화학제품(4.9%)과 1차 금속제품(17.4%)도 올랐다.
서비스 요금도 항공화물운임(31.5%)·국제항공여객료(4.3%)·펀드수수료(5.9%)·호텔숙박료(7.0%)·여관숙박료(4.8%) 등의 상승 영향으로 1.4% 상승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