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268만원 6.2%↑, 근로시간 176.9시간 2.5%↑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올해 2분기 근로자의 임금과 근로시간이 나란히 증가해 뚜렷한 경기 회복세를 반영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분기 상용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268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증가하는 등 세 분기째 늘었다고 25일 밝혔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참작한 실질임금총액도 3.5% 늘어 두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정액급여는 225만8000원으로 4.7% 증가했다. 1인당 월평균 초과급여와 특별급여는 각각 18만7000원, 38만9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4%, 0.8% 많아졌다.
대다수 업종의 임금이 증가했으나 건설업(-4.6%), 숙박 및 음식점업(-0.6%), 운수업(-0.3%), 교육서비스업(-0.1%)은 감소했다.
규모별로는 30인 이상 사업체의 임금 상승률이 10%를 웃돌아 4%대에 머문 30인 미만 사업체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6.9시간으로 전년동기에 견줘 4.3시간(2.5%) 늘었다.
상용근로자의 총근로시간은 183.2시간으로 1.9% 증가했다.
임시ㆍ일용근로자의 총근로시간은 105.2시간으로 9% 증가해 2008년 1분기 이후 2년여 만에 처음 늘었다.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소정 실근로시간과 초과 근로시간은 각각 164.6시간, 18.6시간으로 전년동기보다 1.8시간(1.1%), 1.7시간(10.1%) 증가했다.
근로시간이 증가한 업종은 오락ㆍ문화 및 운동서비스업(5.4%), 도·소매업(2.6%), 건설업(1.6%), 제조업(0.4%)이며, 감소한 업종은 금융보험업(-2.6%), 교육서비스업(-2.1%), 기타 공공서비스(-2.0%) 등이었다.
100~299인 사업체의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3% 증가했으나 다른 규모의 사업체는 0.7~2.2% 감소했다.
고용부는 "경기가 회복되면서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모두 증가 폭이 확대되는 추세"라면서 "임금상승 흐름과 함께 가계소득과 지출 모두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고용창출력이 큰 내수 진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또 "시간제 근로가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등 장시간 근로 관행을 없애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실업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