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도시형 생활주택 건축 요건이 크게 완화된 후 수도권 중심으로 공급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25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7월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물량은 921가구로 6월 633가구에 비해 45.5% 늘어났다.
종전 20가구 미만이던 건축허가 대상이 30가구 미만으로 확대되고, 상업ㆍ준주거지역에서 15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아파트를 건설할 때에는 사업승인이 아닌 건축허가만 받으면 가능하도록 요건이 완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인허가를 받은 도시형생활주택 가운데 건축허가 대상으로 바뀐 20가구 이상, 30가구 미만의 도시형 생활주택은 98가구(4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30가구로 전달(244가구)에 비해 76.2% 증가했을 뿐만 전체의 46.7%를 차지했다. 경기도도 187가구로 전달(42가구) 대비 무려 345%나 늘어났다.
주택 유형별로는 원룸형이 3746가구로 전체의 79%를 차지했고 단지형 다세대 651가구(13.7%), 단지형 연립 및 기숙사형 343가구(7.35%) 순이었다.
또 1월부터 7월까지 인허가 물량은 총 474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공급물량 2만가구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