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태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31일 경제 8단체(한국경제인협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경영자총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한국상장회사협의회·한국무역협회·코스닥협회)가 개최한 '위기의 한국경제 진단과 과제' 세미나에서 "바이든 행정부 이후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는 오늘 발표된 내용까지 총 4500억 달러 규모"라며 "기업 투자라는 성장 엔진이 국내가 아닌 미국으로 이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의 무역 협상 결과가 국내 입장에서 보면 투자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가 이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도 "단기적으로는 '큰 불은 막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향후 구조적 불균형이나 실질 이행방안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협상 타결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가 15%로 낮아졌지만, 기존의 무관세 상황과 비교하면 손해를 본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조 교수는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물품은 여전히 무관세지만, 한국의 대미 수출에는 15% 관세가 부과되는 구조로 확정됐다"며 "자동차 관세는 0%에서 15%가 됐고 일본과 유럽연합(EU)은 2.5%에서 15%가 됐다. 자동차 가격경쟁력에서 손해를 봤다"고 짚었다.
조선업계와 자동차업계는 '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에 대한 우려를 내놓았다.
정석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전무는 "수많은 하청노조의 교섭 요구로 인한 혼란은 외국 선주들에게 보여줬던 생산 안정성과 신뢰도를 저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주홍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현회 전무는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부과가 있고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어 노사 협력을 통한 국내 생산 경쟁력 제고가 절실하다"며 "법 개정으로 산업 경쟁력 약화와 일자리 감소가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