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6일 교통 인프라에 500억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8일엔 기업의 연구ㆍ개발(R&D) 투자를 통한 고용창출을 유도하기 위해 1000억 달러 세약 공제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는 오바마 대통령이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표심을 잡을 방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고 해석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경기부양책의 직접적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우선 500억 달러는 실질적으로 경제를 부양하기에는 작은 금액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실제 이번 부양책의 절대 금액으로는 2009년 조성된 경기부양자금(ARRA) 7870억 달러의 6.4%에 불과하다.
그는 이어 "폴 쿠르그먼은 교수는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대담한 경기부양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짐 로저스는 재정적자가 심한 만큼 긴축재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찬반이 갈리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이번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더블딥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민간 고용과 수요 회복 등 미국 경제의 자생력 회복을 위한 시간을 벌어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