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위원장은 지난 3일 열린 출입기자단 세미나에서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일에 대해 채권단이 방치한다면 과거 대우건설 때와 같은 불미스러운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우건설의 교훈은 매각에 있어서 자금조달의 내용이나 과정이 명확하고 투명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 같은 일이 또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과도한 이면계약이 있다든지, 레버리지 바이아웃(인수 대상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 기업 인수에 나서는 것)이 있다든지 하는 것으로 인해 매수자의 비용이 지나친 부담으로 작용할 경우 결국 시장 질서를 교란한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현대그룹을 현대건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면서 자금 출처 등을 세밀하게 따져보지 않은 점을 질타한 것이다.
진 위원장은 “당국 입장에서는 시장이 납득할 수 있도록 채권단이 적절히 조치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당국의 직접 개입보다 채권단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기를 당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