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기상청에 따르면 2009년 8~9월 서울시내에서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자치구는 양천구로 24.6도였으나 강북구는 22.42도로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 양천구에 이어 성동(24.59도), 광진(24.59도), 영등포(24.58도), 송파(24.55도), 용산(24.54도), 강남(24.5도), 마포(24.46도), 동대문(24.43도) 순으로 기온이 높았다.
반면 강북구와 함께 관악(22.7도), 성북(23.12도), 도봉(23.28도), 노원(23.3도), 은평(23.58도), 구로(23.59도), 서대문(23.64도)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지역 기상 자료의 기준이 되는 서울기상관측소(종로구 송월동)의 평균 기온은 23.83도였다.
또 서울 북쪽과 산간지역에서 일교차가 크게 나지만 도심으로 갈수록 일교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8월 한달간 도봉과 노원 등의 일교차는 평균적으로 20도가 넘었지만 강남, 양천, 마포, 강서, 성동, 광진, 서대문 등은 16~18도였다.
또 여름철 오후에 서풍이 우세하기 때문에 도심의 고온기류가 동쪽에 영향을 미쳐 서울의 서쪽보다 동쪽에서 기온 편차가 더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은 "서울 중심부의 동서 방향으로 고온 지역이, 북한산과 관악산 근처에는 저온 지역이 생기는 등 지형과 토지 이용형태에 따라 기온 차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수치모델 입력 자료와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위성자료, 항공관측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기상청은 13일 서울시 서소문청사에서 열리는 기상청ㆍ서울시 합동 생태도시포럼에서 연구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