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주석과 1만원 월세아파트

지난달 29일 베이징의 한 보장성 주택을 찾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가운데).

(베이징 = 조용성 특파원) 후진타오(胡锦涛) 중국 국가주석이 세밑인 지난해 12월 29일 민정시찰에 나선 것을 놓고 베이징 주민들 사이에 말들이 많다. 후 주석은 시장을 방문해 물가를 점검했고 길거리에서 시민들을 만나 생활을 살뜰하게 챙기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 중 특히 베이징(北京)시 차오양(朝阳)구 관좡루(管庄路)의 한 가정을 방문했던 광경이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이 집에는 도시 빈민층 가족이 살고 있었으며, 월세가 고작 77위안(한화 1만3000원, 45평방미터)에 불과하다는 세입자의 말에 후 주석을 비롯한 중국 고위관료들은 탄성을 자아냈다. 이 모습은 새해 연휴기간동안 CCTV를 통해 중국 전역에 여러차례에 걸쳐 방영됐다.

보통 베이징 아파트의 경우 45평방미터형의 월세가 2000위안선임을 감안한다면 이는 1/20 수준에도 못미치는 셈이다.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중국의 사회보장제도가 이렇게 잘 돼 있다면서 환호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인터넷상에는 77위안의 월세가 가능한 것인지를 두고 한바탕 논란이 일었다.

사실 후 주석이 방문한 가정은 극빈층에 제공되는 보장형 주택이었다. 중국의 사회보장망의 일환인 보장형주택은 1평방미터당 월세가 1위안 아래서 결정된다. 하지만 이같은 보장형주택의 공급량은 아직 극소수에 한정돼 있다. 또한 보장형주택은 도시 변두리에 위치해 있다. 때문에 네티즌들은 보장형주택의 존재마저 알지 못한채 77위안 주택은 허구라는 반응을 보였던 것이다.

대도시의 집값 급등을 막기 위해 규제를 속속 내놓고 있는 중국정부는 서민생활을 위해 올해 보장성주택을 대대적으로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이를 곧이 곧대로 믿지 않는 눈치다. 이미 지난해 3분기까지의 각 도시별 보장성주택 건설 진도율은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보장성 주택은 건설사로서는 마진이 남지 않는 상품이다. 또한 지방정부로서도 재정을 투입해 건설사의 손해를 보전해줘야 하기 때문에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때문에 보장성주택 건설이 구호로만 그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상에서는 중산층의 허탈감도 묻어나왔다. 한 중국 네티즌은 “일반 4인가정이 거주하는 80평방미터(25평형) 아파트의 월세는 3000위안에서 4000위안사이다. 중산층인 부부가 함께 1개월에 1만위안을 벌더라도 월세를 제하면 생활비는 빠듯하다”면서 “하지만 중산층에는 보장성주택의 기회가 돌아오지 않는다”라고 하소연했다. 중산층의 생활도 빠듯하기는 마찬가지지만 정부의 손길이 닿지 않는다는 푸념인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