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해결사' 김석동 화려한 복귀…금융권 '초긴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1-04 08: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금융시장 기강 확립하겠다", 가계대출·부동산 PF 문제 우선 해결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해결사 김석동이 화려하게 돌아왔다.

철저한 관치주의자이자 자타가 공인하는 금융전문가인 그는 ‘대책반장’, ‘해결사’ 등의 별명을 얻을 만큼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으나 재정경제부 제1차관을 마지막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3년간 ‘야인’으로 머물렀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의 부름을 받고 최근 장관급 개각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금융정책을 총괄하는 금융위원장으로 복귀했다.

김 위원장의 귀환을 바라보는 금융권의 반응은 극과 극으로 갈린다. 금융위기 이후 어수선해진 시장 분위기를 다잡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가와 지나친 관치로 금융회사의 자율성이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김 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금융시장 기강 확립’을 내세웠다.

그는 3일 취임사를 통해 “금융시장의 질서와 기강이 설 수 있도록 하겠다”며 “금융산업의 자율은 질서와 규율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고 왜곡하는 경우에는 단호하게 책임을 묻고 시장의 실패가 우려되는 상황에서는 시장 안정을 위해 확고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금융위기 수습 과정에서 금융당국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부여받았던 금융권으로서는 긴장하지 않을 수 없는 발언이다.

김 위원장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가계대출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문제를 꼽았다.

그는 “금융시장의 취약 요인들은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문제가 더욱 커지고 풀기도 어려워진다”며 “책임감을 가지고 한 발 앞선 대응 노력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관(官)은 치(治)하기 위해 존재한다”라는 발언으로 유명한 김 위원장은 전임자인 진동수 위원장과 달리 당국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금융위 직원들에게 “현장과 호흡해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상황을 신속히 장악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자기 책임하의 과감한 결단도 피해서는 안 된다”고 주문했다.

최근 금융시장을 달구고 있는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

현대건설 매각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는 “일차적으로 채권단이 자기 역할을 책임감 있게 해야 한다”며 “채권단 스스로 채권을 확보한다는 면에서도 그렇고 인수합병(M&A) 이후 기업이 제대로 성장할지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내놓지 못할 경우 당국이 관여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 대해서는 “우리금융은 대주주인 정부가 판단해서 M&A를 할 것”이라며 “돈도 많이 받아야겠지만 그 회사가 잘 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연내 민영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시기보다 중요한 것은 방법론”이라며 “방법론이 정해지면 시기는 걱정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아울러 론스타의 외환은행 대주주 적격성 심사 진행 계획에 대해서는 “도망가면서 처리하지 않겠다”며 “납득할 만한 방향으로 처리하겠다”고 답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해결하지 못한 부분들이 남아 있어 하나씩 실마리를 잡고 풀어 나가겠다”며 “이제 어느 정도 정상궤도에 올랐기 때문에 해이해진 금융시장 질서를 정리하고 기반을 꼼꼼히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