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관계자는 “에너지ㆍ자원 측면에서 날로 중요해지고 있는 아프리카 지역과 외교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전에는 인접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케냐, 탄자니아에 부임한 대사가 각각 이들 3개국의 대사를 각각 겸임해왔으며 통상 1년에 한차례 정도 해당국가를 방문해 외교업무를 보는 형태였으나, 분관이 설치될 경우 직원 1명이 현지에 파견돼 대사대리 직위로 활동하게 된다.
아프리카 지역에는 53개국이 위치하고 있지만 우리 대사관이 있는 국가는 19곳에 불과하다.
특히 주케냐대사관은 우간다뿐 아니라 모리셔스·소말리아·에리트레아·세이셸·코모로 등 6개국을 관할하고 있으며 주남아공대사관도 4개국, 주탄자니아대사관은 2개국 대사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분관이 신설될 3개국은 자원이 풍부하고 개발협력 차원에서 협력 여지가 많은 국가들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특히 마다가스카르는 우리나라가 최대 투자국으로 현재 니켈광 개발 합작사업이 진행 중이며 주석과 텅스텐 등이 풍부한 르완다는 주한대사관이 있는 만큼 상호주의 원칙도 고려됐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