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자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환경단체 36곳은 애플이 부품을 조달하는 업체 직원들의 건강 문제를 등한시하고 환경오염을 일으켰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 환경단체들은 지난 1년간 다국적 기술회사 29곳을 대상으로 납품업체 제조현장의 환경오염 및 산업재해에 어떻게 대처했는지를 조사해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 결과 애플이 최하위의 불명예를 차지했다.
환경단체들은 보고서에서 HP, BT, 알카텔-루슨트, 보다폰, 삼성, 도시바, 샤프, 히타치 등은 조사 결과에 따라 개선 조치를 취한 반면 노키아, LG, 싱텔, 에릭슨 등은 시정 조처를 하지 않았고 밝혔다.
그러나 이중에서도 애플이 최악이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 예로 2009년 애플에 납품하는 대만 윈텍의 자회사인 롄젠테크놀러지 근로자 49명이 화학세척약품인 노말헥산에 중독됐다는 진단을 받고 애플 측에 문제를 제기했으나 애플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환경단체들도 애플 측에 이 문제를 포함한 다른 문제들을 함께 제기했지만 애플은 오염시킨 업체가 애플의 납품업체인지에 대한 확인도 거부하는 등 무대응으로 일관했다고 환경단체들은 전했다.
잘 알려진 중국 NGO인 공중환경연구중심(公衆環境硏究中心)의 마 준 사무총장은 “애플은 다른 대기업과 다르게 행동했으며 무반응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스티브 다울링 애플 대변인은 “애플은 납품업체들과 공급망에 대한 철저한 감사 프로그램을 거쳤다”고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