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지능화 하며 소비자는 물론 동종업계 종사자에게도 피해를 주는 허위 매물 어떻게 피해갈까. 세 가지로 정리해 봤다.
1. 시세보다 싼 매물은 없다= 가장 기본적인 문제다. 시세보다 싼 매물은 절대 있을 수 없다.
그런 매물이 있다면 딜러가 먼저 매입할 거라고 딜러들은 말한다. 매물보다 200만~300만원씩 낮게, 수입차의 경우 500만~1000만원까지 싼 매물을 무차별적으로 올리는 게 ‘사기꾼’들의 공통된 수법이다.
상황에 따라 50만원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그 이상 싼 매물은 100% 허위매물이라는 게 딜러들의 설명이다.
2. 서류 먼저 받아보는 건 기본= 모든 중고차에는 차량등록증과 성능기록부가 있다. 정상적인 딜러라면 기꺼이 차량등록증과 성능기록부를 팩스로 보내준다. 1차적인 사기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역시 차량이 팔리기 이전에 복사해 둔 사본을 허위로 발송하는 사례가 있다. 국토해양부가 운영하는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에서 등록원부를 확인해 보면 실매물인지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서류를 확인하더라도 가짜 매물은 있을 수 있다. 매장에 도착해 다른 딜러로 연결해 준다던지 ‘착오가 있었다, 다른 차를 보여주겠다’는 식이다. 여기에 절대 현혹되선 안 된다. 이런 방식이 먹히면 불량 매물은 절대 근절되지 않는다.
3. 특별히 신뢰도 높은 사이트는 없다= 허위 매물을 올리는 딜러들은 중고차 포털을 ‘광고’로 생각한다. 실제 이 포털에 일정 광고비를 지급하기 때문에 가급적 많은 손님을 끌지 않으면 손해기 때문이다.
이를 시스템화 하기 위해 허위 매물을 올리는 사람과 전화를 받는 사람, 이를 보고 찾아온 사람을 구슬리는 사람 등 조직화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행법상 이들을 제제할 방법은 없는 게 현실.
따라서 정말 싼 매물을 찾기 위해서는 온라인에 의존하기 보다는 실제 매매센터에 들러 발품을 파는 수 밖에 없다. 온라인 포털 역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전국에 흩어져 있는 수만~수십만 대의 매물을 직접 확인하는 건 불가능한 게 현실이다.
현 시스템이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온라인 매물은 시세확인을 위한 참고 수준에 그칠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자료도움= 서울 강서 오토갤러리의 중고차 딜러 정수광 씨)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