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청장은 이 자리에서“내진보강을 조기 추진하고 대상을 확대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현재 내진설계 대상 공공건축물은 5만1903개동으로 내진성능 확보 건물은 8466개동으로 확보율이 16.3%에 불과하다.
함께 참석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내진 확대 방안의 예산에 대해 “2015년까지 3조원을 투입하고 2030년까지 2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 청장은 또 “현재 1∼2층 건물은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돼 있는데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모든 신규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 의무화를 추진하겠다”며 “기존 민간건축물에 대해서도 세제 감면 등을 통해 내진보강을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소방방재청은 3∼6월 건축물, 학교, 병원, 원전 등 31종 공공시설물의 내진실태를 일제 점검할 계획이다.
박 청장은 또 “오는 10월까지 소규모 건축물을 위한 내진 기준을 제정해 배포하고 내년 상반기 중 원전 등 국가 기간시설 주변 지진위험지도 및 활성단층 지도를 작성하겠다”고 언급했다.
원전과 관련해서 박 청장은 “규모 6.5의 지진이 바로 밑에서 발생해도 안전할 수 있도록 설계가 돼있고 대부분 해수면 10m 위에 설치돼 있어 일본과 같은 최악의 해일이 발생해도 침수되지 않는다”며 “우리 원전은 전원이 차단됐을 때도 폭발가능성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119 국제구조대 107명이 일본 센다이 지역에 파견됐고 파견장비는 구조장비, 탐색장비, 화생방장비 등 128종 1천926점”이라며 “15일 현재 13구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