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계자는 이달 말 발표가 예상되는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해 “검정 절차는 우리가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내용이 발표되면 그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관계자는 독도 영유권 주장을 적시한 일본 교과서에 대해 “교과서 내용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면서 “다만 일본 외무성이 최근 대지진에 따른 비상사태 등을 고려해 발표 시기를 조절할지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지난 2008년 7월 일종의 ‘가이드라인’인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펴냈고, 일본 민간출판사 대부분이 이를 토대로 독도 영유권 주장을 적시한 교과서를 만들어 검정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일본 대지진 후 우리나라의 인도주의적 지원 움직임과 관련해 “일본 지진 피해복구를 돕는 것과 독도 영유권은 서로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강조하고 “그동안 일본 측에도 이 같은 입장을 계속 전달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64개 역사·시민단체로 구성된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는 이날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간사이 네트워크‘ 등 일본 내 시민단체와 21일 오사카에서 공동심포지엄을 연다고 밝혔다.
`일본 교과서 검정과 근린제국조항’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은 하종문 한신대 일본지역학과 교수가 ‘근린제국조항이 갖는 의미와 제정 배경’, 다카시마 노부요시 류큐대학 명예교수는 `근린제국조항과 2011년 역사교과서 문제‘란 제목으로 각각 주제발표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