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이번 주부터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2000여 개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신용위험평가에서 대기업 계열사 평가 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는 최근 LIG건설에서 채권금융기관과 협의 없이 기습적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효성, LIG그룹으로 이어지는 부실계열사 '꼬리자르기' 문제가 불거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모기업의‘지원 각서’만 제출하면 가점을 주던 기존과 달리 앞으로 구체적인 ‘지원 계획서’를 내야 한다.
예를 들어 증자를 통한 지원계획서를 제출할 경우 증자시기와 규모, 자금조달 방법 등의 증빙자료가 포함돼야 하는 식이다. 이전까지는 구두약속이나 단순한 서면 제출만으로 가점이 주어졌다.
기존에 모기업의 지원으로 가점을 받아 B등급을 받은 계열사들도 앞으로 지원계획서 등을 확보하지 못하면 C등급으로 전락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또 부실이나 위험 징후가 있는 계열사의 경우 모기업의 ‘확실한 보증’을 확보해야 구조조정을 피할 수 있다.
시중은행들은 또 시공능력 300위권 내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지난해와 같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키로 했다. 이번 평가에서는 100대 건설사들 가운데 5개 내외가 구조조정이나 퇴출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은행권은 이달 말까지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를 끝내고 5~6월 중에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한다. 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기업은 워크아웃을 추진하고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옛 법정관리)를 밟거나 퇴출된다.
다만 은행권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 작업이 결코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 신용평가 부서에서 해당 대상을 추려내도 내부 의사결정 과정에서 마케팅이나 영업 담당 부서의 반발에 부딪힐 수 있고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많아질수록 은행의 충당금 부담도 커지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은 이미 상당 폭 이루어진 상황인데다 지난해 경기가 위기 당시인 2009년보다 회복돼 사실상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가장 문제가 큰 건설업의 경우 현재 5개 안팎의 건설사들이 퇴출 명단에 거론되고 있으나 시중은행들은 모기업 지원이 확고한 것으로 알려진 D건설 등 4개 대기업 계열 건설사들은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