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오는 2020년까지의 철도망 확장사업을 담은 제2차 국가철도망 구
축계획을 확정, 고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계획은 작년 9월 발표된 고속철도망 구축전략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이다.
계획은 전국 주요거점을 1시간30분대로 연결해 하나의 도시권으로 통합한다는 목표 아래 △주요거점의 고속 KTX망 연결 △대도시권 30분대 광역·급행 철도망 구축 △녹색 철도물류체계 구축 등의 핵심 과제를 실행하게 된다.
계획에 따르면 현재 경부고속철도 368.5㎞에 불과한 시속 230㎞ 이상의 고속철도 구간이 2020년에는 2천362.4㎞로 약 6.4배 늘어난다. 이에 따라 1시간30분대 고속철도 서비스 범위가 현재 인구의 60%에서 83%로 확대된다.
고속철을 포함한 철도 총연장은 3천557㎞에서 4천934㎞로 확충되고, 복선화율은 49.6%에서 79.1%로, 전철화율은 60.4%에서 85.0%로 각각 높아진다.
우선 호남 고속철도와 수도권 고속철도 등 현재 추진 중인 사업을 적기에 완공하고, 일반철도를 시속 230㎞급으로 고속화하는 동시에 이를 경부 및 호남 고속철도와 연계하는 등 KTX 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된다.
아울러 도심 접근 30분대 철도망을 구축하기 위해 광역철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대도시 교통난을 획기적으로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핵심 물류거점인 항만·산업단지와 내륙화물기지를 간선철도망과 연결하는 등 대량수송 철도 물류 네트워크도 구축된다.
국토부는 이 같은 계획을 실행하는 데 고속철도 16조원, 일반철도 46조원, 광역철도 26조원 등 총 88조원의 예산이 들 것으로 전망하고, 국비 59조원, 지방비 3조원, 민자유치 등으로 26조원을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계획이 완성되면 철도 여객수송 분담률은 2008년 15.9%에서 27.3%로, 화물수송 분담률은 8.0%에서 18.5%로 각각 증가할 것으로 국토부는 예측했다.
또 연간 6조8천억원의 사회적 편익과 774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연간 91조원의 지역총생산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사업 과정에서 198만명의 고용유발 효과와 더불어 233조원의 생산유발 효과도 아울러 발생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