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3일 “환경측정분석사를 일반직공무원 특별채용 자격에 추가해 줄 것을 행정안전부에 요청해 2011년 4월 4일자로 개정ㆍ공포된 ‘공무원임용시험령’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환경측정분석사 자격 소지자는 자격취득 후 실무경력에 따라 7급부터 6급(3년), 5급(7년) 공무원까지 특별채용이 가능하게 됐다.
또한 환경측정분석사 자격자를 연구직공무원으로도 특별채용하는 것이 가능토록 행정안전부에서 ‘연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의 개정을 추진 중에 있으며, 지난달 4일 입법예고 한 바 있어 곧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입법예고안에 따르면, 환경측정분석사 자격 소지자는 자격취득 후 실무경력에 따라 환경연구사 또는 환경연구관(7년)으로 특별채용이 가능하게 된다.
앞으로 환경부는 환경측정분석사 자격 소지자를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연구직공무원으로 특별채용하는 것이 가능토록 ‘지방 연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각 지방자치단체별 관련 규칙의 개정도 행정안전부를 통해 후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앞으로 환경측정분석사 자격 소지자의 해당분야 진출이 확대될 경우 측정분석기관의 신뢰도 증진 및 서비스 품질 제고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국가적으로도 측정분석기관의 질적 향상을 통해 국내에 진출 중인 외국의 측정분석기관에 대응하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환경측정분석사 제도는 지난 2005년 1월 대법원에서 행정기관의 측정분석 자료뿐만 아니라 민간 측정대행업자의 측정분석 결과도 배출부과금 산정 근거로 인정함에 따라 측정분석기관의 분석능력 강화를 위해 2007년 법제화한 이후, 2009년에 제1회 검정을 실시해 수질분야 13명을 배출했고, 지난해 제2회 검정에서는 수질분야 5명, 대기분야 1명 등 현재까지 총 19명이 배출됐다.
올해엔 대기 및 수질분야 검정을 오는 6월 11일 동시에 실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