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베이징 외교가에 따르면 카터 전 대통령이 일행과 함께 이 기간에 방북해 북한 고위 인사들을 만날 예정이다.
카터 전 대통령은 코피 아난 전 유엔사무총장, 메리 로빈슨 전 아일랜드 대통령 등 전직 국가수반 모임인 ‘엘더스 그룹’(The Elder‘s Group) 회원들과 함께 방북해 북한의 고위 인사들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제1차 북핵위기 당시 북한을 찾아 당시 김일성 주석과의 회동을 통해 미국과 북한간 극단적 대결 분위기를 대화 국면으로 돌리는 평화 메신저 역할을 한 바 있고 지난해 8월에도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인 아이잘론 말리 곰즈 석방을 위해 방북했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두번째 방북에서는 북한의 최고지도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면담하지 못했다. 따라서 카터 전 대통령은 이번 방북에서 김 위원장 면담을 강력하게 희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고비 때마다 대화의 물꼬를 터온 카터 전 대통령이 이번 방북에서 교착된 남북대화와 북핵 6자회담의 ’전기‘를 마련할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카터 전 대통령이 이번에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 또는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날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미 행정부 측에서는 카터 전 대통령의 이번 방북은 사적인 자격으로, 어떤 공식적인 메시지도 갖고 가는 게 없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남북대화와 북핵 6자회담과 관련된 논의가 눈에 띄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는 가운데 이뤄지는 카터 전 대통령의 이번 방북을 통해 적어도 북한의 태도변화 여부와 정세 전환의 가능성을 판단해볼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