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부실화 원인규명 및 대책마련을 위한 청문회’에 출석해 이 같이 밝힌 뒤, “언제라도 자율 M&A를 하겠다는 곳이 나오면 해줄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영업정지 조치를 받은 7개 저축은행을 비롯한 상당수 저축은행이 시장에 매물로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발언으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이날 함께 증인으로 참석한 전광우 전 금융위원장 역시 “부산계열이 인수한 대전과 전주저축은행은 부실화했지만, 나머지 6개는 다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2008년 저축은행 업계의 자율적 M&A를 활성화를 실시한 정부의 조치로 저축은행이 계열화·대형화하고 부실이 전이됐다는 지적에 반박했다.
김 위원장 역시 1998년 은행의 여신금지업종 폐지로 저축은행의 영업영역이 축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로 몰린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서민금융시장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신용등급에 따라 적절히 대출하면서 잘 경영되는 저축은행도 있다”며 여신금지업종을 부활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