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사전 지역 배분’논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16 16: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입지와 함께 윤곽을 드러낸 기초과학연구원의 형태와 관련, 과학기술계에서는 “사전 지역 배분이 아니냐”라는 논란이 나오고 있다.

16일 공개된 과학벨트 조성사업 추진계획안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은 거점지구인 대덕단지뿐 아니라 광주와 경북권(대구·울산 포함)에 집중적으로 들어선다.

이는 거점지구에서 탈락한 지역들을 배려한 것으로 과학기술계는 추측했다.

광주의 경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북권에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이 중심이 되며, 각 지역 연구단들은 클러스터 형태로 이른바 ‘연합 캠퍼스’를 구성한다.

연구단 수는 대덕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 경북권의 DUP(DGIST·UNIST·POSTECH) 캠퍼스에 약 10개, 광주 GIST에 약 5개가 배정될 예정이다.

과학기술계는 이는 연구원이나 연구단 설립의 기본 취지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앞으로 선임될 연구원장과 연구원 과학자문위원회가 함께 국내외를 막론하고 연구 수월성(역량)을 갖춘 연구단장 후보와 연구분야·기관을 물색한 뒤 이를 중심으로 연구단을 설치해야 한다고 과학기술계는 강조했다.

이같은 논란을 의식한 듯 과학벨트위원장인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구단 숫자를 배정한 것은, 투자계획을 세울 때 대략의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어서 어디까지나 큰 방향일 뿐 변동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