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장은 최근 추가감세 철회 문제에 대해 “법인세와 소득세가 같이 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고 언급해 야당으로 부터 법인세는 그대로 두고 소득세 부분의 감세만 철회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이 의장은 이날 김포공항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책위원회 워크솝에서 기자들을 만나 “최근 법인세 추가감세 철회에서 후퇴한 것처럼 해석한 기사가 있는데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하게 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내에 법인세 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어서 정책의총에서 총의를 모아 기조를 확정하겠다는 말을 했더니 그런 기사가 나왔다”며 기존의 추가감세 철회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 의장은 또 정책위 산하에 10여개의 태스크포스(TF)와 관련, “이미 법안을 생산해내거나 그 목적을 달성한 경우에는 소멸시키겠다”는 의견도 밝혔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서는 각 분야별 부의장들의 다양한 정책구상이 쏟아졌다.
외통·국방분야의 김장수 부의장은 북한인권법의 6월 임시국회 처리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보건ㆍ복지ㆍ환경ㆍ노동분야 안홍준 부의장은 일반 의약품 슈퍼마켓 판매 정책 폐지와 군가산점제도 보완책 마련을 촉구했다.
교육·과학·문방분야의 임해규 부의장은 영유아교육지원 및 고등교육 예산 확대, 대학기부금 공제제도 도입과 주5일제 수업을 위한 대책마련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국토해양·지식경제분야 정진섭 부의장은 “‘초과이익 공유제’가 소모적인 논쟁을 불러올 수 있는 만큼 정부안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며 국제과학비즈벨트 논란과 관련 “당이 민심을 달래기 위한 후속조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무ㆍ기재ㆍ예결산의 김성식 부의장은 공정경쟁과 소득제 분배 강화를, 운영ㆍ법사ㆍ행안 분야 김정훈 부의장은 사법개혁특위 논의 진전을 위한 당차원의 지원을 요구했다.
이 의장은 “서민 체감경기가 좋지 않은 만큼 환골탈태하는 자세로 국민들이 옳다고 믿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며 “국민들은 당이 정부와 청와대를 주도하는 모습을 원하고 있는 만큼 당은 국민의 목소리를 정부와 청와대에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