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국 2인이상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09%로 지난해 1분기보다 0.46%포인트 늘었다.
소득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이 19%대로 올라선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래 처음이다.
한 가구의 월 소득이 1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소득의 5분의 1에 가까운 평균 19만900원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가 아닌 비소비지출로 쓰인다는 것.
비소비지출이 증가한다는 것은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줄면서 살림살이가 빡빡해진다는 뜻이다. 근로자의 월급에서 사전 공제되는 부분이 커져 실제 수령액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가계대출이 증가하면서 이자비용이 늘어나고 각종 연금과 사회보험 가입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비소비지출 규모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 1분기 근로소득세와 재산세 등 경상조세는 10만5623원으로 지난해 1분기(9만3913원)보다 12.47% 증가했다. 1분기 경상조세가 10만원선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연금 등 연금지출은 9만8273원으로 지난해 1분기(9만3029원)보다 5.64% 늘었다.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 지출은 9만5699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만873원보다 8.66% 증가했다. 이자비용 지출도 8만1254원으로 작년 1분기(7만2750원)보다 11.69%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