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김성식 정책위원회 부의장은 29일 언론 인터뷰에서 대학 등록금 부담 완화 방안과 관련, “국가장학지원제도의 대폭 확대를 통해 등록금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일 계획”이라며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90∼100%를 해준다면 그보다 상위계층은 50%→40%→30%씩으로 줄여 대학생을 둔 가구의 하위 50%에 장학금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대학생들에게도 최소한의 도덕적 책무를 주문코자 한다”며 “평균 B학점이면 전체의 75%에 해당하는 만큼 무리한 기준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 부의장은 대학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투명한 공시제도를 운영하고 등록금산정위원회 개혁 등을 통해 등록금이나 학교 재단 전입금 문제를 국민이 투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부실 대학엔 장학금을 주지 않으면서 점진적이고 자연스런 구조조정을 하려고 한다”며 “지금도 최저 교육여건의 사립대 17곳이 취업후등록금상환제(ICL) 혜택에서 제외되는데, 등록금 부담 완화도 그 정도 되는 대학은 제외하고 점진적으로 수준을 높여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 부의장은 재원 조달 방안에 대해선 “증액해야 할 국가장학금을 추계한 결과 2조원을 넘지 않는다”며 “다행히 경제가 빨리 회복되고 있는 만큼 재정으로 못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