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임기 말이면 늘 반복되는 현상들이다.
지난달 27일 청와대에서는 임태희 대통령실장 주재로 확대비서관회의가 열렸다. 월 1회 열리는 확대비서관회의는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지만 이날은 임 실장이 대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전날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의 부산저축은행 비리연루 의혹을 접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임 실장은 회의에서 "현 정부에 '동지는 없고 동업자만 있다'는 외부 평가를 뼈아프게 받아들이자"고 말했다. 은 전 위원이 추문에 휩싸인 것도 바로 그런 '동업자 정치'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었다.
사실 현 정부 인사들의 정치 스타일을 '동업자 정치'로 보는 건 새로운 시각이 아니다. 이미 지난 대선 때부터 "'박빠(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 열혈 지지자를 부르는 속어)'와 달리 '명빠(이 대통령 열혈 지지자를 부르는 속어)'는 그 실체가 없다"는 얘기가 나왔었다.
이 대통령 스스로 '경제 대통령'을 표방했듯이, 그 주변은 정치적 신념이나 철학·가치를 공유하기보다는 그때그때 이해관계가 부합하는 사람들로 채워졌던 게 사실이다. 이는 임 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도 크게 다를 바 없다.
요즘도 얼굴이 알려진 여권 인사들은 주요 자리를 놓고 '자기 사람 챙기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대통령은 "현 정부가 성공해야 정권 재창출도 가능하다"고 강조해왔지만 "'지는 해'는 더 이상 볼 필요가 없다"는 게 그들의 생각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마냥 넋을 놓고 있을 일은 아니다. 이럴 때일수록 중심을 잡아야 한다.
무엇보다 청와대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 이 대통령이 바라는 '행복한 퇴임'을 위해선 버릴 사람은 버리고 끝까지 국정을 함께 할 수 있는 사람들로 분위기를 쇄신할 필요가 있다.
피할 수 없는 고통은 즐기라고 했다. 레임덕도 마찬가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