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4월의 23만2000개에 비해 4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또 5월 실업률도 9.1%로 전월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 고용지표는 그동안 더디게나마 개선되던 미국의 고용상황이 정체 혹은 악화되는 양상으로 옮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시장전문가들은 지난달 실업률이 8.9%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신규 일자리 창출 규모도 15만∼17만개 정도로 예상했으나, 실제 발표치는 이러한 예상을 크게 빗나갔다.
지난달 새로 생겨난 일자리 가운데 민간부문에서는 8만3000개가 늘어 작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민간부문 고용증가 규모는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19만개에 턱없이 못미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부문에서 일자리가 5000개 줄어 7개월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소매판매 부문에서도 8500개가 줄었다. 건설부문은 일자리가 2000개 늘었다.
정부부문은 2만9000개가 줄어 22개월 연속으로 일자리 감소세가 이어졌다.
정부부문의 일자리 감소는 재정난에 허덕이는 지방 정부에서 대규모 감원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 주된 요인으로 여겨진다.
한편 주택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제조업 경기지표와 소비심리도 위축되는 양상을 보인데 이어 고용지표마저 부진한 모습을 나타냄에 따라 미국의 경기가 다시 하강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는 올해 1분기의 성장률 둔화가 일시적인 조정국면이라고 여기고 2분기부터 성장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발표되는 경기지표들은 연준의 전망을 무색케하고 있다.
따라서 이달말로 종료되는 연준의 2차 양적완화 조치가 연장되거나 추가 경기 부양책이 마련될 것이라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