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권재진 민정수석비서관과 정진석 전 정무수석, 김두우 홍보수석, 백용호 정책실장 등에 대해서도 저축은행 관련 의혹이 제기된 바 있으나, 검찰의 수사선상에 오른 것으로 확인된 건 김 사장이 유일한 만큼 그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15일 “김 사장이 부인하고 있는 만큼 일단 검찰수사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면서도 “저축은행 사태에 온 국민의 관심이 쏠린 상황인 만큼 부담스런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는 김 사장이 부산저축은행그룹 로비스트인 윤여성씨로부터 인천효성지구 개발사업 관련 인·허가 청탁을 받고 2000만원을 받는 등 모두 8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포착하고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다.
그러나 김 사장은 이날 언론과의 통화에서 “부산저축은행의 브로커로 알려진 사람과 돈을 주고받을 사이도 아니고, 금품이나 청탁을 받을 위치에 있지도 않았다”며 “사실이 아닌 만큼 거리낄 게 없다”고 주장했다.
김 사장은 아직 검찰로부터 소환 통보 등의 연락을 받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장은 지난 2007년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후보 비서실 부실장을 맡았으며 현 정부 들어 청와대 정무비서관을 지낸 뒤 지난 4월 건설관리공사 사장으로 취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