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공정위원장, 공정사회·물가잡기 최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16 16: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면수 기자) 이명박 정부가 집권 4년차에 접어들면서 각종 비리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정도(正道)'를 고수하는 곳이 있다. 지난 30년간 기업들에게 악명(?) 높았던 공정거래위원회가 바로 그곳이다.

공정위는 지난 1월 김동수 위원장(사진)이 취임한 이후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함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당시 조직개편은 집권 말 최대 국정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동반성장과 물가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김 위원장의 의중이 충분히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김 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물가 안정을 강조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기자회견을 자청한 자리에서 “물가안정과 동반성장을 직접 지휘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는 정부의 강경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불공정 관행이 결국 물가불안과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를 저해해 왔기 때문이다.

이후 김 위원장은 ‘동반성장과 물가안정’을 잡기 위해 취임 5개월 동안 숨가쁘게 걸어왔다. 대기업 총수의 역할을 고려해 상반기 중 15대 대기업 총수와 연쇄 간담회를 추진해 왔고, 민생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 위원장은 현 정부가 최우선으로 추구하고 있는 '공정사회 구현'에도 다양한 방안으로 접근하는 등 타 부처 보다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문화 확산을 위한 대기업 최고경영자(CEO) 릴레이 간담회와 중소기업 CEO 릴레이 간담회 등이다.

이처럼 김 위원장은 ‘동반성장과 물가안정’, 그리고 공정사회 구현을 위해 혼신의 힘을 쏟고 있다.

비록 김 위원장이 취임한 지는 불과 5개월에 지나지 않지만, MB정부가 김 위원장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정책 목표는 이미 확인된 셈이다. 결국 김 위원장이 산업계 전반에 뿌리내린 불공정 게임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