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금융연구원이 발표한 ‘2011년 하반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물가상승률은 폭우를 비롯한 이상 기후, 서비스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4.2%에 달해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경제성장률) 4.1% 보다 높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의 경기 회복이 지연돼 수출이 둔화되고 금융시장이 변동성이 커지면서 소비 여건이 나빠지자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세계 경기 둔화나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유가가 급락하면 물가 상승폭이 예상치 보다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민간소비 증가율이 3.1% 하락하고 건설투자 증가율 역시 0.3%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의 경우 지난해 반등효과가 사라지면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인 7.6%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수출 증가율은 주요 선진국이 수요 위축 여파로 상반기 13.3%에서 하반기 9.6%로 내려앉을 것으로 관측됐다.
경상수지는 연중 흑자 기조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91억 달러에서 하반기 46억 달로 흑자 규모가 반감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원은 미국 경제가 더블딥(이중침체)에 빠지고 유럽 재정위기가 금융 부문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며 우리나라 성장률의 3%대 하락과 환율 급등, 외화자금 경색 유발에 우려를 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