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은행 및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8월중 은행의 가계대출은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중심으로 2조5000억원 늘었다. 7~8월 은행권 가계대츨은 4조7000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8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5월과 6월의 3조3000억원, 3조4000억원에 비하면 훨씬 작은 규모다.
이는 신규대출 중단 등 은행권의 대출 억제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증가액도 1조2000억원으로 7월(1조9000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다만 마이너스통장 대출이 대부분인 신용대출 증가액은 휴가철 카드사용대금 결제, 주식매수자금 수요, 주택담보대출 억제 등의 영향으로 7월보다 1조원이 많은 1조3000억원에 달했다.
지난 7~8월 비은행 가계대출은 5조5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7월 2조1000억원에서 8월 3조4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커졌다.
같은 기간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 4조7000억원에 비하면 비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이 8000억원 더 많다.
금융위 관계자는 "2008~2010년 비은행 가계대출이 7~8월 평균 3조70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가파은 증가세다"고 설명했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은행권을 웃돈 것은 7월과 8월중 금융당국과 은행이 신규대출을 억제한 영향으로 이른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업권별로는 단위농협 등 상호금융사(3조원)와 보험사(2조2000억원)의 가계대출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여신전문금융사도 리스·할부금융사에서 두 달간 4000억원이 늘어 올해 상반기 전체 증가분과 맞먹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역시 은행권에서는 7~8월 1조6000억원이 늘어난 반면 비은행권에서 4조100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단위농협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관계부처간 협조를 강화하고 추가대책 마련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