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은 지난달 26일부터 11일까지 추석선물세트가 전년동기 대비 13.8% 증가했다. 특히 정육·갈비 매출이 26.2%나 증가했다. 건강식품 매출도 지난해보다 23.4% 올랐으며 건어물·멸치·건과의 매출도 각각 23.9%·14.2%·12.4% 증가했다. 반면 가격이 오른 청과는 평균에 못 미치는 4.6% 성장했다. 또한 주류도 FTA 영향으로 가격이 5~15% 저렴해졌지만 매출은 0.7% 증가하는데 그쳤다.
현대백화점은 지난달 16일부터 11일까지 지난해보다 12%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한우 19.2% △굴비 12.4% △청과 12% △홍삼 22.5% 증가했다. 특히 한우는 전체 물량의 25%를 차지한 10만원대 상품이 대부분 매진하며 호조세를 나타냈으며 희소성이 높은 전통 특산물 매출도 크게 신장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달 26일부터 11일까지 전년대비 10.2% 성장했다. 품목별로 △한우 18% △청과 8.4% △수산 11.6%(굴비 12.8%) 신장에 그치는데 반해 건강과 델리, 와인을 포함한 가공 관련 품목이 15.8% 신장했다. 건강제품인 홍삼이 20.1% 비타민류가 23.6%로 큰 폭으로 신장했다.
갤러리아 백화점은 지난달 22일부터 11일까지 전년대비 22%나 신장했다. 특히 타 업체와 달리 와인이 51%나 상승했다. △기프트 코너가 39%△건식품 18% △생선 15% △정육 13%로 올랐다. 가격대별 판매 실적은 30만원 이상이 전년대비 49%나 신장했고 10만~19만원 사이 선물세트는 48% 올랐다. 10만원 미만은 11%가량 올랐다.
백화점 관계자는“이른 추석으로 인해 구매를 늦추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초반 어려움을 겪었으나, 행사 후반부로 갈수록 고객이 몰려 두자리 수 이상 매출이 증가했다”며 “특히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되었던 한우와 건강 선물세트가 매출을 주도했다”고 말했다.
대형마트는 백화점과 달리 전년대비 매출이 한자릿수만 신장했다. 건강식품·조미료세트가 매출 호조세를 나타냈으나 한과 및 주류는 하락했다.
이마트는 지난 25일부터 11일까지 전년대비 7.0% 신장했다. 조미료 세트가 68.8%나 증가했으며 신선물도 점차 수요가 증가해 35.2% 올랐다. 사과세트는 32.2%, 배 세트는 45.3% 신장했다. 한우도 지난해보다 24.5% 증가했지만 한과와 주류세트는 각각 3.7%, 12.3% 하락했다.
롯데마트는 지난달 23일부터 12일까지 전년대비 5.6% 신장했다. 이른 추석으로 수요가 몰려 실적이 소폭 신장됐다. 품목별로는 △건강식품 36% △식용유지 19.3% △생활용품 10.6% △과일 7.3% △한우 등 소고기 3.3% 올랐다.반면 △한과는 15.4% △버섯·인삼 등 채소선물 11.4% △주류 선물 5.7%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