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아르헨 전 중앙銀 총재 "그리스, 디폴트 크게 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9-15 15: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구제프로그램 진행시 부채 더 커져" <br/>2002 외환위기 당시 중앙은행 총재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그리스가 차라리 '큰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를 선언하는 게 유럽연합(EU) 경제의 악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마리오 블레저(63) 전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총재(사진)는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회견에서 "유럽연합(EU)의 경제 악화를 막으려면 그리스가 채무상환을 중단하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리스가 더 이상 부채를 갚을 수 없다고 전제하고, "그리스는 디폴트를 선언해야 하고, 그것도 아주 큰 규모의 디폴트여야 한다"며 "작은 디폴트는 디폴트를 선언하지 않는 것보다 상황을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레저는 이어 "그리스의 디폴트는 적어도 포르투갈과 아일랜드까지 상징적으로 디폴트 상황에 이르도록 하는 엄청난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블레저는 오는 23~25일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 관리들이 그리스 사태의 악화를 막기 위해 회동하는 데 대해 그리스에 구제금융을 지원하는 것은 오히려 경기침체를 부추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재정위기국 지원을 위한 구제금융 프로그램은) 아주 터무니없다"며 "재정위기국이 재정감축과 민영화 등 구제금융 조건을 모두 이행하면 내년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은 올해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블룸버그는 블레저의 이같은 주장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입장과 대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독일 라디오방송인 RBB와의 회견에서 "그리스 디폴트에 따른 위기 전이 위험은 매우 크다"며 "통제되지 않은 지급불능(uncontrolled insolvency) 사태는 격변하는 글로벌 시장을 더욱 동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위원회(EC), 유럽중앙은행(ECB), IMF로부터 구성된 '트로이카 실사단'은 최근 그리스 정부와 재정적자 감축 목표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으며, 독일 의회에서는 그리스에 긴축안을 이행하지 못하면 유로존을 탈퇴하라는 주장이 빗발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미니코 롬바르디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은 "그리스의 무질서한 디폴트는 '재앙의 조리법(recipe for disaster)'이 될 것"이라며 메르켈의 입장을 대변했다.

한편 블레저는 아르헨티나가 2001년 950억 달러 규모의 디폴트를 선언한 이듬해 1월부터 5개월간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총재를 지냈다. 당시 그는 페소화를 달러화에 1대 1로 고정한 페그제를 철폐하고 단기 채권(LEBAC)을 발행해 평가절하된 페소화의 가치 안정을 도모했다. 이후 블레저는 2003~08년 머빈 킹 영란은행 총재의 자문을 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