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韓 대외 충격 취약성, 27개국 中 9번째로 낮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0-16 15: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우리나라가 다른 신흥국 가운데 대외적 충격에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기부양책 시행 여력도 충분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국제금융센터와 HSBC에 따르면 나라별 대외충격에 대한 취약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취약성 지수는 -0.23으로 27개 신흥국 가운데 9번째로 수치가 낮았다.

취약성 지수는 경상계정과 외국인직접투자(FDI)를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비율, 단기부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 미국ㆍ유럽과의 GDP 상관계수, 원자재 가격 하락의 영향 등의 변수를 가중 평균한 것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대외충격에 강하다는 뜻이다.

27개국 가운데 취약성 지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중국(-0.88)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필리핀(-0.61), 인도네시아(-0.59), 인도(-0.47), 태국(-0.29), 베트남(-0.28), 싱가포르(-0.26), 브라질(-0.24) 순으로 나타났다.

대외 충격에 가장 취약한 국가는 베네수엘라로 1.34를 기록했다.

한국은 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과 미국ㆍ유럽과의 GDP 상관계수는 양호한 모습을 보였으나 단기부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 경상계정과 FDI의 합을 GDP로 나눈 비율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으로는 한국이 0.30으로 27개국 가운데 7위로 집계됐다.

경기부양책 시행여력 지수는 재정부양책 시행능력, 기준금리 수준과 인플레 전망치를 고려한 양적완화조치 시행여력, 미 달러화 지급능력, 환율 조정능력 등의 변수를 가중평균한 것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이 충분함을 의미한다.

조사대상 가운데 경기부양책 시행 여력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1.00)으로 나타났다. 러시아(0.78), 대만(0.60), 브라질과 카자흐스탄(0.50), 우크라이나(0.42)가 뒤를 이었다.

반면 경기부양책 시행여력이 가장 적은 나라는 파키스탄(-1.02)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한국은 재정수지 대비 GDP 비율, 공공부채 대비 GDP 비율, 환율 조정능력은 양호한 반면, 외환보유액과 기준금리 수준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HSBC는 해당 조사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제의 더블딥(이중침체)이 발생한다면 신흥국 가운데 중국과 브라질이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반면 베네수엘라, 터키 등은 경기회복이 가장 더딜 수 있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