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국책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일부 공기업들의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한 데다 여전히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남북간 대치국면은 언제든지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주 한국과의 연례협의를 마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오는 12월경 한국의 신용등급 평가 보고서를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9월27~29일 우리나라 방문실사를 벌인 피치(Fitch)는 이르면 내달 신용등급 조정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신용등급 변동이 없을 때는 관례적으로 평가보고서를 내지 않았던 무디스(Moody's)는 지난 5월25~27일 한국과의 연례협의를 거친 바 있다. 무디스는 지난해 4월14일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A2에서 A1으로 한 단계 올린 이후 유럽발 재정위기가 확산되는 현 시점에도 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3대 신평사중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1(다섯번째 등급), 피치는 A+(〃), S&P는 A(여섯번째 등급)로 평가하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지난 21일 실사를 끝낸 S&P가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 현황, 국가재정 운용계획 등 재정 분야 이슈와 가계부채, 은행의 외화유동성 상황 등 금융 분야 이슈를 집중적으로 체크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연례협의기간 700억 달러에 이르는 한·일 통화스와프 체결소식이 날아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당시 실사단은 한·일 통화스와프가 대외균형 유지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다각적인 질문과 자료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S&P와 피치가 각국의 국가신용등급 하향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해서는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무디스가 최근 한국가스공사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하는 등 국내 공기업들의 부채급증에 우려를 표명, 국가신용등급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공기업의 부채보다 자산규모가 크고 당기순이익도 지속적으로 높아져 장기적으로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며 "올해에는 공기업은 주요 관심사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다른 두 신평사에 비해 한국의 신용등급을 한단계 낮게 평가하고 있는 S&P가 여전히 지정학적 리스크를 문제라고 보고 있어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