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우리, 신한, 하나, 산업, 농협, SC제일 등 7개 은행은 최근 `PF 정상화뱅크(배드뱅크)‘를 운영하는 연합자산관리(유암코) 측에 PF 부실채권 추가 매각을 신청했다.
PF 배드뱅크는 부실채권을 구입 후 정상화한 뒤 차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사모펀드(PEF)형식의 조직이다.
자본금 한도 1조2000억원 가운데 지난 6월 1차 매각으로 6000억원을 소진하고 현재 6000억원이 남았다.
은행들은 2차 매각에서 2조원 가까운 부실 PF를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은행권 전체 4조4000억원(8월 말 기준)인 PF 부실채권 가운데 절반 가량이다.
현재 은행들이 매각을 신청한 PF 사업장에 대한 실사와 가격 협상을 거쳐 연말께 매각이 완료될 전망이다.
PF 부실채권 매각 신청 규모는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 등이 비교적 많다. 산업은행 또한 적지 않은 규모의 부실채권 매각을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은행권의 PF 부실채권을 구입을 위해서는 남아있는 재원 6000억원으론 부족할 전망이다. 배드뱅크가 부실 PF 채권을 매입할 때 공정가격 할인율을 종전처럼 평균 50%로 적용할 경우 1조2000억원까지만 흡수할 수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 측은 1호 배드뱅크의 재원이 더 필요하면 은행들을 상대로 자본금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은행들의 PF 부실채권 정리는 이번 2차 매각으로 마무리된다. 당국은 그러나 부동산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 내년에 다시 배드뱅크를 만들어 부실채권을 정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은행들의 PF 부실채권이 분기마다 7천억원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면서 내년 상반기 중 배드뱅크를 1~2차례 추가 조성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