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형태에 따라 보조적 항암화학치료를 달리한다면 대장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고려대 구로병원 종양내과 오상철 교수와 미국 MD 앤더슨 암센터 이주석 교수팀은 26~92세 대장암 환자 177명(남 96명, 여 81명)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자생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성장과 확산, 종양형태 등 예후를 결정짓는 114개 유전자를 선별해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A, B 두개의 타입으로 나눠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 병기 구분법에 의한 대장암 5년 생존율은 대략 1기 90%, 2기 80%, 3기 70%, 4기 15% 였지만 유전자 분석에서는 병기에 관계없이 5년 이상 생존율이 A타입 80%, B타입 60%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같은 병기의 환자라도 유전자형에 따라 지속성, 재발가능성 등 예후가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환자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암 예후를 예측, 치료 방향을 결정한다면 재발 또는 암세포의 진행을 예방하는 맞춤 치료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실제로 3기 대장암의 경우 A타입 유전자를 지닌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했을 때나 하지 않았을 때 3년 무병 생존율에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B타입 유전자의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3년 무병 생존율이 41.9%, 항암치료를 했을 경우 71.2%로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