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마 위안거리도 있었다. 이날 한국반부패정책학회에서 반부패청렴대상 수상자로 홍 대표를 최종 선정했다. 뜻밖의 낭보였다. 그러나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홍 대표에겐 위로가 되지 못한 느낌이다.
홍 대표는 여권 쇄신안에 대한 논란이 거듭되자 문제해결에 총대를 멨다.
홍 대표는 “정부와 청와대가 변할 일에 대해 대통령과 만나 협의할 것”이라며 “당·청의 정책변화가 우선이라면 그것부터 조속히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 측은 최소한 지금까지의 이명박 정부 국정운영에 대한 대통령의 유감표명 정도는 받아내야 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당내 소장파와 친박계 일부가 합세해 대통령의 사과 요구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당 수장으로서 현 국정 실태에 대해 바로잡겠다는 이 대통령의 뜻은 받아내야 한다는 게 홍 대표의 절박함이다.
홍 대표 측 관계자는 “서민들의 힘겨운 삶과 현실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책임감을 느끼며 유감정도는 표명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들이 위로하고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남은 1년간 최선을 다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도 받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사회 양극화· 민생고에 대한 반성 및 유감 △친서민 정책 기조 강화 등을 이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홍 대표가 만약 이 대통령에게 이같은 유감표명을 받아낸다면 홍 대표는 일단 ‘절반의 성공’은 거둔 셈이다.
다음은 공청시스템을 놓고 제계파와 결전을 벌여야 한다. 10월 재보선 이후 당내 쇄신을 둘러싼 혼란은 제계파가 공천권을 확보하기 위한 힘겨루기라고 홍 대표는 분석하고 있다. 당초 쇄신안에 들어갔던 당사폐지 문제는 원래는 유승민 최고위원이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홍 대표가 이를 거론하자 유 최고위원이 말을 바꿔 ‘대표 흔들기’에 나섰다는 게 홍 대표측의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4월 총선 승리를 위해선 40∼50대의 지역전문가 등 다양한 새인물을 당으로 영입해야 한다”며 “홍 대표가 전략공천을 요구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김정권 사무총장 교체 주장에도 홍 대표는 정면돌파할 방침이다. 자신의 직계 의원에게 사무총장을 맡기지 못한다면 다양한 계파에서 다툼을 벌여 공정한 공천과정을 보장할 수 없다는 논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