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시장의 세계 최초 취임식 온라인 중계가 진행된 지난 16일, 시청 한편에서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개포동 주공 2단지(1841가구), 주공 4단지(3129가구), 시영아파트(2148가구) 3개 단지의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안이 보류됐다.
업계에서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겠다는 박 시장의 ‘순환형 정비방식’이 가동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박 시장 당선 이후 두차례 열린 도시계획위에서는 상정된 10건 중 불광1구역만 통과하고 5건이 보류됐으며 4건은 심의를 받지 못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시내 재건축을 추진 중인 곳은 약 200여곳으로 이중 조합도 구성되지 않은 곳은 86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경우 2003년 12월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았지만 최근 임대아파트 비중 등으로 갈등을 빚으며 정비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도 추가 분담금에 부담을 느낀 조합원들이 사업에 반대하고 있으며,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아파트 4단지도 건설사가 지급보증에 따른 부담감으로 시공권을 포기해 아직까지 공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강동구 둔촌주공도 조합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
한편, 이번에 정비구역 지정이 보류된 단지들은 소위원회의 회의 일정과 도시계획위 논의 등을 거쳐 최소 1∼2개월의 추가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