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경기침체로 인해 시장이 자체적으로 속도조절을 하고 있으며, 개포지구의 경우 다른 단지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했다는 설명이다.
문승국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24일 오전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브리핑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최근 개포동 주공2·4, 시영아파트 재건축안이 전부 보류된 것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문 부시장은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의 재건축·재개발 속도조절설과 관련해 "시장경제가 침체돼 있고 수익률이 낮아서 시장이 자체적으로 속도조절을 해주고 있다"며 "속도조절이 필요한 건 사실이지만 정책으로 강제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미래의 삶의 변화에 맞춰 재건축이 변화해야하지 않겠느냐"며 "단지 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노인인구를 위한 공간 마련, 천편일률적인 형태를 지양한 디자인과 구조 등 재건축 심의에서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개포지구 재건축 보류 사유로는 임대주택 등 소셜 믹스(Social Mix) 구현과 다양한 디자인 및 조망권 확보를 위한 동배치 검토, 리모델링이 용이한 구조계획에 따른 용적률 및 높이 완화 타당성 검토, 학교 수요 및 시설 증축에 대한 교육청과의 협의 등이 꼽혔다. 또 390만㎡(120만평)의 규모인 만큼 대중교통 등 광역적 교통계획 검토 등도 보류사유가 됐다는 설명이다.
문 부시장은 이어 "이번 심의결과는 개포지구내 다른 29개 단지에 대한 바로미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지적된 논의사항을 포함해 재상정해달라고 요구한 상황"이라며 "임대주택 도입 비율이나 녹지, 아파트 배치 문제 등에 대해 공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또 "재개발·재건축 설계자나 주민들도 변화하는 주택시장의 트렌드에 따라 아파트 공간에 무엇을 담아낼지 질적 향상에 대해 많이 고민을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